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어 : 프랑스어 차용어
    교육 2020. 7. 5. 20:53

    영어 : 프랑스어 차용어

     

    * 프랑스어 차용어

     

    고대영어는 Anglo-Saxon고유의 순수 어휘를 간직한데 반하여, 중세영어에는 수많은 외래어가 도입되었다. 어휘상 게르만어적인 체취의 고대영어가 로맨스어(Romance language)로 변했다. 노르만정복 후 약150년 동안 영어는 영어대로, 프랑스어는 프랑스어대로 이중어의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 프랑스어가 상류계급의 일상어와 공용어(official language)로 정부나 법정에서 쓰였고, 영어는 하층민의 언어로 사회 밑바닥 언어로 사용되었다. 노르만 정복에서 약1200년경에 이르는 중세영어의 초기에 주로 들어온 프랑스어의 어휘는 종교에 관한 것이다. 종교계에 진출하면 화려한 장래가 보장되었고, 고위 성직자들은 강력한 사회적 위치와 권력을 장악하여 정계에 진출하는 시발점이 되기도 하였다.

     

    -분야별 차용어

     

    이 당시 종교에 관계되는 모든 용어는 프랑스어에서 도입한 낱말들이었다.

    mercy, religion, evangelist, sermon, sacrament, baptism, prior, prayer, paradise, theology, miracle, homily, charity, confession, passion, penance, chaplain, communion, grace, archangel, clergy, pastor, comfort, savior, faith, conscience, purity, mystery

     

    노르만 정복 이후 법정에서는 프랑스어가 전반적으로 쓰였기 때문에 법률 용어로 쓰이는 프랑스어(Law French)의 전통은 이미 굳건한 기반을 닦았다. 상당수의 법률 용어는 노르만 프렌치 (Norman French)에서 온 것이었다. 법률 용어로서 프랑스어에서 들어온 것은 다음과 같다.

    judgment, crime, prison, accuse, fine, bar, proof, bail, imprison, arrest, justice, tenant, heir, suit, plaintiff, defendant, petition, indictment, jury, felon, evidence, ransom, verdict, sentence, decree, forfeit, punishment, bill

     

    관청을 비롯한 모든 행정 기관에서 쓰이는 용어는 대체로 프랑스어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영어에 도입된 용어들은 그 전통을 자랑하여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다..

    parliament, court, crown, state, council, royal, assembly, tax, office, government, majesty, mayor, prince, treaty, duke, treason, exile, liberty, chancellor, lady, lord, noble, peer, princess, courtier, sir, madam, mistress, servant, duchess, baron

     

    현재 영어에서 쓰이고 있는 대부분의 군사 용어는 프랑스어에서 왔다. 또한 중세 영어의 초기에 도입된 것이 많기 때문에 노르만 프렌치어에 유래하는 것이 적지 않다.

    army, navy, enemy, peace, defense, soldier, sergeant, lieutenant, captain, banner, sally, guard, spy, officer, archer, rank, conquer, aid, combat, retreat, garrison

     

    일상생활과 직결되는 유행, 의류, 오락에 관한 낱말 중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gown, dress, apparel, robe, coat, costume, garment, collar, garter, boots, fur, jewel, curtain, chair, screen, habit, attire, petticoat, towel, basin, parlor, closet, button, chamber, pearl, diamond, crystal, ruby, brooch, chandelier, cushion, blanket, couch

     

    사회적 계층이나 신분을 가리키는 낱말 중에서

    crown, sovereign, prince, duke, duchess, count, marquis, squire, sir 등은 프랑스어에서 온 낱말이고, king, queen, lord, thane, earl, yeoman, churl등은 순수 앵글로 색슨어로 되어 있다. 종교적인 용어를 보면 God, Gospel, cross, church, minister, rood 등은 앵글로 색슨어인데 대해 clergy, Bible, abbey, creator, savior, chapel등은 프랑스어에서 온 것이다. 법률 용어에서는 doom, sin, guilt, guilty등은 앵글로 색슨어이고, judgement, crime, justice, prison등은 프랑스어에서 온 것들이다.

     

    오락에 관련된 낱말들로 프랑스어에서 들어온 낱말들은 다음과 같다.

    amusement, leisure, dancing, chase, chess, music, leash, falcon, sport, recreation, fool, juggler, checkers, conversation, cards, dice, partner, trump, ace, deuce

     

    상류사회의 생활을 대변하는 학문, 예술, 문학 등을 즐길 수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 바로 프랑스인들이었다. 이 방면에서 쓰이는 프랑스어에서 온 낱말들은 다음과 같다.

    art, painting, sculpture, poetry, prose, study, grammar, title, volume, paper, pen, copy, beauty, color, figure, arch, tower, cathedral, palace, castle, chamber, pillar, vault, porch, column, aisle, choir, tragedy, prologue, poet, noun, remedy, poison

     

    군사 용어들에서도 이런 현상을 볼 수 있다.

    foe, weapon, slaughter, spear, bow, arrow등은 앵글로 색슨계에서 왔고, enemy, armour, battle, archer, army, navy등은 프랑스어에서 왔다. 계급 명칭인 captain, lieutenant, sergeant등은 프랑스어에서 왔다.

     

    people, use, air, noise등과 같은 일상용어도 프랑스어에서 왔는데 그 예들은 다음과 같다.

    travel, cost, suppose, satisfy, pair, obey, sound, marry, seem, excuse, chief, enjoy, firm, cover, large, complain, nice, carry, poor, real, usual, safe, change, move.

     

    - 품사별 차용어

     

    1. 어휘 면에서 볼 때 영어는 외래어의 채용으로 말미암아 그 면모를 바꾸게 되었다.

     

    2. 명사의 경우, 차용어의 뜻의 범위가 대단히 광범위하여 air, bucket, face, order에서 시작하여 grief, damage, point, ocean 등에 이르고 있다.

     

    3. 형용사 역시 광범위하게 프랑스어에서 도입되었다. 중세영어시대 전체에 약 1000여개가 들어와

    표현력이 좋아졌다. (able, active, actual, blank, calm, brief, certain, chief, clear, common, curious, innocent, liberal, moist, natural, original, plain, principal, probable, proper, rude, secret, simple,

    stable, stout, subtle, tender, universal )

     

    4. 동사의 경우, 간단한 동작에서부터 복잡한 추상적인 동작에 이르기까지 유입되었다. aim, apply, continue, enclose, endure, enter, excuse, flatter, flourish, form, furnish, observe, pinch, relieve, rinse, serve, surprise, tax

    -혼성 파생어

     

    프랑스어 낱말이 완전 동화된 후 영어와 동일시되어 앵글로 색슨계의 접두사나 접미사를 자유롭게 첨가했다: 이를테면 gentle, faint, duke등 프랑스어의 낱말에다 앵글로 색슨계의 접두사나 접미어(suffix word)-ness, -ful, -woman, -man, -less, -ly, -fully, -ship, -dom 등을 첨가하여 gentleness, gently, gentleman, gentlewoman, faintly, dukedom 등 우리들의 눈에 익고 자주 쓰이는 혼성어가 탄생했다.

     

    반대로 영어의 어간에다 프랑스어의 접두사나 접미사를 첨가해서 만든 혼성어도 대단히 많다. 이를테면 amaze, fulfil, god, forbear, murder, thunder, fisher, drink, eat, answer, break, hinder, short등 영어의 어간에 프랑스어의 접미사인 -ment, -ess, -ance, -ous, -ry, -able, -age 등을 첨가하여 amazement, goddess, shortage 등을 만드는 것이 이러한 예가 될 것이다.

    -프랑스 차용어의 경향

     

    1. 어휘 면에서 게르만적인 체취의 고대영어가 중세영어에는 로맨스어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

     

    2. 현대영어(Modern English)의 어휘를 광대하게 팽창시켰다.

     

    3. 수많은 혼성어(hybrid)와 이중어(doublet)를 만들어 놓았고, 결과적으로 동음어(synonym)의 수가 증대하였다.

     

    4. 고대영어의 흔한 낱말들이 프랑스어의 낱말로 인해 소실되었다: sibb (=peace), ieldu (=age),

    lof (=praise), lyft (=air), wlite (=beauty)

    참고: 어휘변화를 보면, 낱말들을 자유롭게 연결시켜 손쉽게 복합어(compound word)를 만드는 힘은 약화되어 어휘의 순수성은 사라졌으며 종합어(synthetic language)에서 분석어로 전환되었으나, 이러한 변화와는 관계없이 게르만어적인 영어다운 점은 여전히 남았다. 이러한 사실을 우리들은 여러 측면에서 엿볼 수 있다. 우선, 문법체계(grammatical system)가 여전히 게르만語的이다. 독어와 얼른 비교하여 보면 상당한 차이점이 있는 것 같아 보이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또한, 문법 범주(grammatical category)를 검토하면 공통점이 허다하다.

    또한 고대영어시대부터 내려온 앵글로색슨계의 기본적인 어휘는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신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head, arm, hand, eye, ear, nose, mouth, leg, foot등을 위시해, 의식주 관련 기본어들은 앵글로색슨계이다: house, hall, room, door, window, floor, gate, meat, drink, bread, fish, milk, salt, wine, ale. 일상생활의 보편적이고도 기본적인 동작도 앵글로색슨계이다: eat, sleep, drink, work, play, speak, sing, walk, run, ride, leap, swim. 영어와 독어의 수사(numeral)를 보면 모두 게르만어적인 공통성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므로 영어는 발전 과정상 수많은 외부적인 요소를 대담하게 받아들이되 그것을 동화하여 앵글로색슨적인 체취를 간직한 채 현재에 이른 것이다.

     

    >>Norman FrenchCentral French 차용어

    1250년 이전까지는 Norman French에서 1250년 이후에는 Central French로부터 불어차용이 되면서, 영어에는 동일한 의미이면서 두 가지 형태와 두 가지 발음을 갖는 경우가 생겼다. 다음의 예를 보자. (Fisiak 1968:43)

    [출처] 중세 영어 내면사 - 차용어|작성자 하늘도둑

     

    댓글

Designed by Tistory.